시모 해위해는 1905년 핀란드에서 태어나 농부와 사냥꾼으로 지내다 1939년 겨울 전쟁에 참전한 핀란드 군인이다. 그는 저격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사격 실력과 은폐술로 많은 소련군을 사살하여 "흰 죽음"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전쟁 중 심각한 부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아 전후 여러 훈장을 받았으며, 사냥과 개 사육을 하며 조용히 여생을 보냈다. 그는 2002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삶은 영화, 게임, 만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급 자유십자포장 수훈자 - 일마리 유틸라이넨 일마리 유틸라이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핀란드 공군의 에이스 전투기 조종사로, 총 94 1/6기의 적기를 격추하고 핀란드 공군 최초의 만네르헤임 십자장 수훈자이다.
라우턔르비 출신 -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 마리아리사 키르베스니에미는 1980년대 전성기를 누린 핀란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올림픽 3관왕, 월드컵 2회 우승, 세계 선수권 금메달, 홀멘콜렌 메달 수상 등의 업적을 달성하고 은퇴 후 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했다.
시모 해위해
기본 정보
1940년 2월 17일, 명예 소총 모델 28을 수여받은 후의 헤위해
별명
"시무나" (개인) "하얀 죽음" (군사) "마법의 사수" (군사) 총살왕 인류 최강의 전사
자유 십자 훈장: 1급 및 2급 메달 자유 십자 훈장: 3급 및 4급 십자 콜라 전투 십자장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
Simo Häyhä
전적
저격으로 공식 확인된 542명 사살
기타 이력
전후 사냥꾼 겸 사냥개 번식가로 활동
명칭
핀란드어
Simo Häyhä
2. 가계 및 초기 생애
시모 해위해는 카리알라라우턔르비의 농가에서 여덟 명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미에틸래(Miettiläfi)라는 작은 마을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뒤, 큰 형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수렵과 어로로 여가를 보냈다.[67]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뛰어난 저격수가 되는 데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68]
아버지 유호 해위해는 마틸라 농장의 소유주였고, 어머니 카트리이나(결혼 전 성씨 빌코)는 헌신적인 농부였다.[19]
17세에 라우턔르비 백위대에 들어가 사격을 배워 비푸리 최고의 실력자가 되었다.[67][69] 1925년 라이볼라(Raivolafi)에서 징병되어 15개월간 복무 후 상병으로 전역했다. 이후 제2자전거대대를 거쳐 부사관 과정을 밟고 테리요키(Terijokifi)의 제1자전거대대에서 근무했다.[67]
2. 1. 초기 생애와 군 복무
1922년경 시민위병 (핀란드) 유니폼을 입은 해위해
시모 해위해는 1905년 12월 17일, 당시 러시아 제국령이었던 핀란드 대공국 비푸리 주 라우턔르비에서 태어났다.[19] 루터교 집안의 여덟 자녀 중 일곱째였으며, 아버지 유호 해위해는 마틸라 농장의 소유주였고, 어머니 카트리이나는 농부의 아내였다.[19] 그는 키벤나파 교구 미에틸래 마을의 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받았고, 큰 형과 함께 농사를 지었다.[67] 군 복무 전에는 농부이자 사냥꾼으로, 특히 여우 사냥에 능숙했다.[52]
17세에 핀란드 자원 민병대인 시민위병 (Suojeluskunta)에 입대했다.[8] 비푸리 주에서 열린 사격 대회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였으며, 그의 집에는 사격 실력을 증명하는 트로피가 가득했다고 한다.[8]
1925년, 19세의 해위해는 비푸리 주 라이볼라에 있는 제2자전거대대에서 15개월간의 의무 군 복무를 시작했다.[19] 부사관 학교를 거쳐 테리요키에 있는 제1자전거대대에서 징집 장교로 복무했다. 1938년 우티의 훈련 센터에서 저격수 훈련을 받기 전까지는 정식 저격수 훈련을 받지 않았다.[19]
해위해를 여러 번 만나고 그에 대한 전기를 쓴 타피오 사렐라이넨 소령에 따르면, 해위해는 최대 150m 거리까지 1m 단위의 정확도로 거리를 추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10]
3. 겨울 전쟁 (1939-1940)
시모 해위해는 겨울 전쟁(1939년 11월 30일-1940년 3월 13일)이 발발하자 재입대하여 전쟁 말기 중상을 입을 때까지 종군했다. 주로 콜라 전선에서 아르네 유틸라이넨 중대장의 지휘를 받는 제34보병연대 제6중대 소속으로 참전했다.[70]
핀란드 자료에 따르면 해위해는 적군에 의해 "흰 죽음"(러시아어: Белая смерть, Belaja smert'; 핀란드어: valkoinen kuolema; 스웨덴어: den vita döden)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19] 그러나 이 별명은 러시아인들이 붙인 것이 아니라 핀란드의 전시 선전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로들의 진술에 따르면 러시아인들에게 "흰 죽음"은 깊은 숲 속의 심한 서리(혹한)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해위하가 "흰 죽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는 내용은 1980년대 후반 핀란드 겨울 전쟁 관련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12] 전쟁 중 "흰 죽음"은 핀란드 선전의 주요 주제 중 하나였으며,[13] 핀란드 신문들은 보이지 않는 핀란드 군인을 자주 특집으로 다루어 신화적인 영웅을 만들어냈다.[13][33] 그는 핀란드인들 사이에서 "마법의 저격수"(핀란드어: taika-ampuja, 핀란드어 저격수 tarkka-ampuja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19] 라는 별명도 얻었다.
시모 해위해는 콜라 전선에서 약 100일간 542명에게 사상을 입히는 전과를 올렸다. 이는 단일 저격수 최다 사살 기록이지만, 1939년 11월 30일자 핀란드 육군 문서에 기록된 수치이며,[71] 공식적인 기록은 200여 명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모 해위해의 전과와 핀란드 군의 선전은 소비에트 연방이 더 이상 핀란드로 진격하지 못하게 막았고, 전선이 고착화되던 중 평화협정이 맺어지면서 콜라 전투는 종료되었다.
3. 1. 콜라 전투와 활약
아르네 유틸라이넨 중위가 지휘하는 제34보병연대 제6중대에 소속되어 콜라 전투에 참전했다.[70] 영하 40도의 혹한 속에서 흰색 위장복을 착용하고 뛰어난 은폐술을 구사했으며, Белая Смертьru(비엘라야 스메르트)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19]
1940년 2월 17일, 명예 소총 수여 직후 콜라 전투에서의 시모 해위해
모신나강 M28-30 소총을 사용했으며, 조준경 없이 개방형 조준기만으로 저격했다.[61]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서브머신건 명수이기도 하여 KP31 서브머신건을 사용하여 기록상 200명 이상, 비공식적인 것을 포함하면 저격으로 사살한 542명[62]보다 많은 적병을 사살했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은 핀란드군 문서에 기록된 시모 해위해의 주요 전과이다.
날짜
사살 횟수
비고
1939년 12월 22일
138명[72]
22일간
1940년 1월 26일
61명[73]
35일간
1940년 2월 17일
20명[74]
22일간
1940년 3월 7일
40명[74]
18일간
1939년 12월 21일, 하루 동안 25명을 저격하여 하루 최다 사살 기록을 세웠다.[19] 핀란드인들 사이에서 "마법의 저격수"[19] 라는 별명을 얻었다.
3. 2. 저격 전술 및 특징
시모 해위해는 일반적인 저격수와 달리 조준경(스코프)을 사용하지 않고 총에 부착된 개방형 조준기(아이언사이트)를 사용했다. 이러한 선택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겨울철 조준경에 성에가 끼는 현상을 방지
개방형 조준기를 사용할 때 머리를 덜 들어 올려 적에게 노출될 가능성을 낮춤
조준경 렌즈가 햇빛에 반사되어 위치가 노출될 위험 제거
해위해는 개방형 조준기와 맨눈을 이용한 저격으로 평균 저격 거리가 200m를 넘지 않는 근접 저격을 선호했다.[75] 이러한 근접 저격 임무를 100일 가까이 수행하면서도 부상 전까지 적에게 공격받지 않은 것은 그의 뛰어난 은폐술 덕분이었다.[76] 해위해가 사용한 은폐술은 다음과 같다:
총구 주변 눈을 압축하여 사격 시 눈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
입에 눈뭉치를 물어 입김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
야간에만 이동, 낮에는 부동자세 유지
약 160cm의 작은 키[18] 역시 은폐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해위해는 저격뿐만 아니라 기관단총을 이용한 근접전에도 능숙하여, 단독으로 지정사수의 임무를 수행했다.[74] 그는 주로 핀란드제 모신나강 M28-30 소총을 사용했으며, 부대원들과 함께 작전을 수행할 때는 수오미 KP/-31 기관단총을 사용했다.
핀란드제 모신나강 M28-30 소총. 러시아 변형과 달리 개선된 조준기가 있다.
해위해는 극심한 추위 속에서 여러 겹의 옷을 입고, 주머니에 설탕과 빵을 넣어 칼로리를 섭취하며 체온을 유지했다. 그는 눈 구덩이에 숨어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적을 관찰했으며,[18] 새벽 전에 미리 준비한 위치로 이동하여 해가 질 때까지 머무르는 습관을 가졌다.[18] 또한, 자신의 위치 앞에 눈 더미를 쌓아 위장하고, 총구에서 나오는 눈보라를 줄였다. 저격 시에는 입에 눈을 물어 숨이 차가운 공기 속에서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했다.[24]
모신나강에는 3.5배에서 4배 배율의 스코프를 장착할 수 있었지만, 헤이헤는 스코프를 사용하지 않고, 총신에 부착된 철제 가늠쇠와 가늠자만으로 저격을 했다. 이는 사냥꾼 시절부터 익숙해진 사격 자세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스코프를 사용하지 않는 편이 장비도 가벼워서이기도 하며, 또한 스코프의 렌즈에 의한 반사광으로 위치가 발각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다.
3. 3. 부상
1940년 3월 6일, 시모 해위해는 소련군이 발사한 유탄 파편에 턱을 맞아 큰 부상을 입었다.[71] 동료들은 "얼굴의 절반이 사라졌다"라고 말할 정도로 위턱, 아래턱, 왼쪽 뺨의 대부분이 손상된 심각한 부상이었다.[71] 의식을 잃고 쓰러져 시체 더미에 있던 중, 다리가 떨리는 것을 발견한 동료 병사에 의해 구조되었다.
이 부상으로 죽을 뻔했지만, 기적적으로 핀란드의 전쟁이 끝난 1940년 3월 13일, 모스크바 평화 조약 체결 당일에 의식을 되찾았다.[77] 이후 14개월간 26차례의 수술을 거쳐 얼굴을 복원했다.[77]계속 전쟁에 참전하길 원했지만, 부상이 커서 기각되었다.[27][28]
시모 해위해 부상 후 얼굴을 재건한 모습
4. 전후 생애
시모 해위해는 부상에서 회복하는 데 몇 년이 걸렸지만, 얼굴의 흉터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회복했다.[9] 그의 가족 농장은 평화협정으로 할양된 영토에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국경 근처 남동부 핀란드의 루오콜라흐티(Ruokolahti) 발크야르비(Valkjärvi)에서 농부로서 새 삶을 시작해야 했다.[18] 농사 외에도 무스 사냥과 개 사육을 즐겼다.[28][24]
그러나 겨울 전쟁 중 그의 행동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어, 증오와 살해 위협을 받기도 했다.[9][27] 전쟁 부상으로 인한 흉터 때문에, 유명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모이는 자리를 피했다. 그는 독신으로 살면서 외로움과 두려움을 겪었지만, 친구들과 가족들이 그에게 힘이 되어 주었다.[28][27] 결국 농장 일이 힘들어져 농장을 임대하고 루오콜라흐티 중심부의 아파트로 이사했다.[28]
4. 1. 은둔 생활과 명예
시모 해위해는 전쟁이 끝난 후 많은 훈장을 받았다. 자유십자 훈장 1, 2, 3, 4급을 수여받았는데, 이 중 3, 4급은 일반적으로 장교에게만 수여되는 것이었다.[78] 콜라 전투 훈장 4개를 받았고,[78] 만네르헤임 십자 훈장 후보로도 추천되었으나 행정적인 이유로 무산되었다.[18][31] 1940년 2월 17일에는 스웨덴 사업가 유겐 요한손이 기증한 SAKO M/28-30 명예 소총을 받았다.[18]
자유훈장 3급
자유훈장 4급
겨울 전쟁 직후, 핀란드의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원수는 해위해를 알리케르산티에서 벤리키로 진급시켰다.[30]
전쟁 후, 해위해는 발크예르비에서 농부, 무스 사냥꾼, 개 사육사로 생활했다.[18] 핀란드 대통령 우르호 케코넨이 그의 사냥 파티에 참여하기도 했다.[24] 콜라 전투원 형제회 이사로도 활동했다.[18]
해위해는 전쟁 경험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고 겸손한 태도를 유지했다.[9] 1998년 인터뷰에서 저격 비결을 묻자 "연습"이라고 답했다.[34] 2001년 헬싱산 사노마트 인터뷰에서는 "나는 최선을 다해 명령받은 일을 했습니다. 모두가 같은 일을 하지 않았다면 핀란드는 없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9][35]
핀란드 라우트야르비의 미에틸래에 있는 콜라아와 시모 해위해 박물관
콜라아와 시모 해위해 박물관에 있는 시모 해위해의 목조상
해위해는 하미나의 참전 용사 요양원에서 말년을 보냈고, 2002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루오콜라흐티에 묻혔다.[30][36] 2004년 핀란드 국영 방송의 "가장 위대한 핀란드인"에서 74위를 차지했다.[33]
루오콜라흐티 교회 묘지에 있는 해위해의 묘비. 비문: 조국 – 종교 – 가정
5.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스웨덴의 헤비메탈 밴드 사바톤은 2010년 앨범 ''코트 오브 암스''에 수록된 "화이트 데스(White Death)"를 해위해를 기념하여 작곡했다.[37]
2022년 영화 ''시수''는 얄마리 헬란데르 감독에 따르면 시모 해위해의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44]
스웨덴의 헤비메탈 밴드 사바톤은 2010년 앨범 ''코트 오브 암스''에 수록된 "화이트 데스(White Death)"를 해위해를 기념하여 작곡했다.[37]
2022년 영화 ''시수''는 얄마리 헬란데르 감독에 따르면 시모 해위해의 전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44]
참조
[1]
뉴스
Kollaa kesti, niin myös Simo Häyhä
https://www.hs.fi/ih[...]
2001-12-06
[2]
뉴스
The long view
https://www.telegrap[...]
2006-04-30
[3]
뉴스
The White Death: History's Deadliest Sniper
https://www.forces.n[...]
2016-11-15
[4]
서적
Sankarikorpraali Simo Häyhä
[5]
뉴스
Tutkijan kädet alkoivat vapista – maailmankuulun sotalegendan Simo Häyhän muistelmat löytyivät sattumalta
https://yle.fi/uutis[...]
Yle.fi
2018-03-14
[6]
뉴스
Sotasankari Simo Häyhän ennennäkemätön päiväkirja löytyi – 'Tässä on minun syntilistani'
https://www.iltaleht[...]
2017-07-18
[7]
웹사이트
Simo Häyhä
https://www.geni.com[...] [8]
서적
Sniper: The Skills, the Weapons, and the Experiences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9]
뉴스
Simo Häyhän muistikirja paljastaa tarkka-ampujan huumorintajun – 'Valkoinen kuolema' esittää näkemyksensä ammuttujen vihollisten lukumäärästä
https://www.is.fi/su[...]
2017-10-14
[10]
웹사이트
Sotalegenda Simo Häyhän ampumistaidot edelleen mallina nykypäivän tarkka-ampujakoulutuksessa
http://yle.fi/uutise[...]
2017-03-29
[11]
서적
The Winter War: The Russo–Finnish War of 1939–40
Workman / London: Aurum Press
[12]
Candidate thesis
Sotamuistoja – Simo Häyhän kuvaus talvisodasta
http://jultika.oulu.[...]
University of Oulu
2019-11-05
[13]
간행물
Perception Management in the Art of War: A Review of Finnish War Propaganda and Present-Day Information Warfare
https://www.jinfowar[...]
Teamlink Australia
2002-10-01
[14]
서적
Finland at War, 1939–4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5]
서적
Out of Nowhere: A History of the Military Sniper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6]
서적
Sniping: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Zenith Press
[17]
뉴스
Tarkka-ampuja Simo Häyhä ei koskaan saanut Mannerheim-ristiä – 'Harkitaan'
https://www.is.fi/ko[...]
2014-12-25
[18]
웹사이트
Simo Häyhä – legenda ja syystä
https://sotaveteraan[...]
2018-02-20
[19]
서적
The White Sniper
https://books.google[...]
Casemate
[20]
문서
JR34:n toimintakertomus 30.11.39–1.12.40. SPK 1327. Finnish National Archive Sörnäinen; Alikersantista vänrikiksi. Hurtti Ukko 1/1941
[21]
서적
Parlamentin palkeilta Kollaanjoen kaltahille
WSOY, Porvoo
[22]
뉴스
Häyhä, Simo (1905–2002)
https://kansallisbio[...] [23]
서적
Suomen kansallisbiografia 4 – Hirviluoto-Karjalainen
http://biografiasamp[...]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4
[24]
서적
Special Forces Sniper Skills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5]
서적
The White Sniper: Simo Häyhä
https://books.google[...]
Casemate
[26]
서적
The White Sniper
[27]
웹사이트
Tappouhkaukset ja pelko varjostivat sotalegenda Simo Häyhän elämää
https://yle.fi/uutis[...]
2017-06-18
[28]
웹사이트
Kolme päivää, 51 kuollutta neuvostosotilasta – tarkka-ampuja Simo Häyhän uskomaton elämä
https://www.mtvuutis[...]
2017-12-06
[29]
웹사이트
Talvisodan legendaarisen tarkka-ampujan Simo Häyhän kivääri ja varusteet pelastettiin
https://www.is.fi/ko[...]
2015-10-30
[30]
서적
The Redwood Stumper 2010: The Newsletter of the Redwood Gun Club, Arcata, CA
Redwood Gun Club
[31]
웹사이트
Suomen puolesta: Mannerheim-ristin ritarit 1941–1945
https://www.worldcat[...]
Ajatus
1994
[32]
웹사이트
Museum
https://www.kollaa-s[...] [33]
웹사이트
Suuret Suomalaiset – 100 Suurinta suomalaista
http://www.yle.fi/su[...]
2011-02-22
[34]
웹사이트
Simo Häyhä - den mest effektiva prickskytten någonsin
https://svenska.yle.[...]
2016-12-15
[35]
웹사이트
Tarkka-ampuja Simo Häyhä – Vaatimaton legenda
https://www.iltaleht[...]
2009-12-04
[36]
웹사이트
Ei ne osumat, vaan se asenne
http://yle.fi/uutise[...]
2013-12-05
[37]
웹사이트
Yhdysvaltain Nato-käsittelyssä mainittiin Simo Häyhä – legendaarinen tarkka-ampuja on maailmalla yllättävän tunnettu popkulttuurihahmo
https://yle.fi/uutis[...]
2022-08-04
[38]
웹사이트
Achren – The White Death
https://www.metal-ar[...]
2022-08-04
[39]
웹사이트
ACHREN – The White Death EP (2014)
http://www.metalforc[...]
2022-08-04
[40]
웹사이트
Yog = Sothoth – To Mega Therion
https://www.metal-ar[...]
2023-04-04
[41]
웹사이트
Cannes 2012: Nicole Kidman Simo Häyhän seurassa rintamalla HBO-draamassa ''Hemingway & Gellhorn''
https://suomenkuvale[...]
2012-05-22
[42]
웹사이트
Simo Häyhästä suunnitellaan yhä Hollywood-elokuvaa: "Ei ole tietoa, missä mennään"
https://www.iltaleht[...]
2019-11-26
[43]
웹사이트
Talvisodan tarkka-ampuja Simo Häyhästä tehdään Hollywood-elokuva – mukana huipputuottaja!
https://www.paivanle[...]
2017-03-12
[44]
웹사이트
Jalmari Helanderin äärimmäisen väkivaltainen natsienlahtauselokuva aiheutti Hollywoodissa poikkeuksellisen reaktion
https://www.is.fi/tv[...]
2023-01-29
[45]
웹사이트
Wolves of Karelia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9
[46]
웹사이트
Olivier Norek: "L'ignorance est la base des phobies"
https://actualitte.c[...]
2024-09-02
[47]
웹사이트
"Les Guerriers de l'hiver", d'Olivier Norek: quand la Finlande résistait héroïquement à la Russie!
https://www.telerama[...]
2024-09-02
[48]
웹사이트
Suomen tarina löi ranskalaiskirjailijan ällikällä – talvisodasta kertova uutuuskirja nousi Ranskassa myyntimenestykseksi
https://yle.fi/a/74-[...]
2024-10-30
[49]
웹사이트
Teinityttö nimeltä Simo Häyhä – näin legenda tarkka-ampujasta levisi maailmalle
https://www.is.fi/ko[...]
2016-03-20
[50]
웹사이트
Shuumatsu no Valkyrie: Record of Ragnarok Anime coming in 2021
https://animetroop.c[...]
2020-12-18
[51]
서적
白い死神
アルファポリス
[52]
뉴스
【ウクライナ侵攻】白い狙撃手に再注目/第二次世界大戦 フィンランド守る
毎日新聞
2022-07-08
[53]
서적
The Greatest Snipers Ever: From Simo Hayha to Chris Kyle
https://books.google[...]
2015
[54]
웹사이트
The Sniper Log Book—World War II
http://www.snipercen[...] [55]
트위터
2012年1月31日 - 17:37
https://twitter.com/[...]
駐日フィンランド大使館
2012-01-31
[56]
웹사이트
Simo Häyhä の発音: Simo Häyhä の フィンランド語 の発音(Forvo)
http://ja.forvo.com/[...] [57]
서적
Sniper: The Skills, the Weapons, and the Experiences
St. Martin's Press
[58]
인터뷰
コッラーとシモ・ヘイヘ博物館長談
[59]
서적
白い死神
[60]
서적
白い死神
[61]
Youtube
Rifles of Simo Häyhä: The World's Greatest Sniper (w/ 9 Hole Reviews)
https://www.youtube.[...]
2021-01-14
[62]
서적
氷風のクルッカ
アルファポリス文庫
[63]
웹사이트
The long view
http://www.telegraph[...] [64]
인터뷰
インタビュアーのハンヌ・カルポ談
[65]
문서
Marjomaa 2004
[66]
웹인용
Simo Häyhä
http://www.palasuome[...]
Olli Kleemola & Janne Niemistö
2010-12-20
[67]
뉴스
Helsingin Reservin Sanomat 2006
[68]
문서
Heiskanen 2002
[69]
웹인용
Vaatimaton legenda
http://www.iltalehti[...]
Iltalehti
2009-12-04
[70]
웹사이트
Valkoinen kuolema
http://haku.verkkouu[...]
Verkkouutiset
1998-10-30
[71]
서적
The white sniper : Simo Häyhä
http://worldcat.org/[...] [72]
저널
The researcher's digest: January
http://dx.doi.org/10[...]
1941-01
[73]
저널
K. V. Laurikainen. Matematiikan analyyttisyydestä (The analytical nature of mathematics). Ajatus (Porvoo), vol. 10 (1941), pp. 105–121.
http://dx.doi.org/10[...]
1942-03-24
[74]
서적
The white sniper : Simo Häyhä
https://www.worldcat[...]
2016
[75]
웹인용
Scandinavian Sniper – Finnish and Swedish Marksmen
https://corporalfris[...]
2023-04-27
[76]
웹인용
Simo Häyhä - legenda ja syystä
https://sotaveteraan[...]
2023-04-27
[77]
웹인용
The Deadliest Marksman’s Cold, Brave Stand
https://narratively.[...]
2023-04-27
[78]
웹인용
TAPASIMME {{!}} Kollaa kesti, niin myös Simo Häyhä
https://www.hs.fi/ih[...]
2023-04-28
[79]
웹인용
Simo Häyhän muistikirja paljastaa tarkka-ampujan huumorintajun – ”Valkoinen kuolema” esittää näkemyksensä ammuttujen vihollisten lukumäärästä
https://www.is.fi/su[...]
2023-04-28
[80]
웹인용
Kolme päivää, 51 kuollutta neuvostosotilasta – tarkka-ampuja Simo Häyhän uskomaton elämä
https://www.mtvuutis[...]
2023-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